조금 전,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정부의 전세대책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홍 부총리의 발표 내용,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] <br />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주택 시장은 서울 매매시장의 관망세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전세시장의 불안요인이 가중되는 중대한 국면에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매매시장은 서울 기준 아파트 매매가격이 8월 넷째 주 이후에 강보합세를 유지하는 등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에는 수도권 비규제지역과 지방 광역시 일부를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하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정부가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을 드립니다. <br /> <br />전세 시장은 8월 이후 가격 상승폭이 다소 둔화되었으나 10월을 지나며 상승폭이 다시 확대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의 전세시장 불안은 저금리 추세, 임대차3법 정착 등 정책적 요인 이외에도 가을 이사철 요인, 20대 가구 세대 수의 큰 폭 증가 등 상승 압력이 일시 중첩된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임대차3법으로 많은 임차 가구가 계약갱신의 혜택을 보지만 기존 임차계약 만료 등으로 새로이 집을 구하시는 분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. <br /> <br />최근 들어 정부가 왜 전세대책을 발표하지 않느냐는 요구가 많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도 조속한 정책대응을 통하여 임차 가구 여러분들의 근심을 덜어드리고 싶은 마음은 한결 같았으나 매매시장과 전세시장 간의 특수 관계를 감안하여 대책의 실효성에 대하여 충분한 사전 검토가 필요했음을 말씀드립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매매시장과 전세시장은 중장기적으로는 같은 방향성을 보이지만 시장 조정 과정에서 단기적으로는 상충관계가 나타날 가능성에 유의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전세가격은 중장기적으로는 매매가격과 일정 비율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여왔으며 이는 매매시장의 안정이 궁극적으로 전세시장의 안정과도 직결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. <br /> <br />단계적으로는 매매와 전세시장은 주택 재고 총량을 두고 경쟁하는 관계입니다. <br /> <br />즉 주택가격에 대한 시장 기대가 안정, 하락하는 과정에서 매매수요가 전세수요로 전환되어 전세가격 상승 현상이 나타날 수가 있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전세수요를 매매수요로 전환하는 방식의 전통적인 단기 전세대책이 매매시장에 부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11907512601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